설날추석 차례상 설날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 및 순서, 지방 쓰는 법

설날추석 차례상 설날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 및 순서, 지방 쓰는 법

유교문화를 계승해온 성균관에서 차례상을 어떻게 차리면 되는지 표준안을 제시했습니다. 핵심 내용은 가족들의 화합, 차례상 음식, 풍속 예법 문헌 연관 내용이었습니다. 설날, 추석, 일반 기제사(제사)를 성균관 차례상 표준안에 맞춘 제사상 차리는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성균관 차례상 표준안 – 추석 제사상 차리는법 – 설날 제사상 차리는법 – 기제사 제사상 차리는법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여드는 유쾌한 명절이지만 차례는 늘 부담스럽습니다.

명절이나 제사를 지낼 때면 늘 세대갈등, 고부갈등, 불화 등의 이야기가 끊이질 않고 나옵니다. 성균관 차례상 표준안에서 제시한 가장 큰 목적은 서로 스트레스받지 대신 간단한 차례상으로 조상을 생각하며, 식구들과 화목하게 명절을 보내는 데 있습니다.


imgCaption0
차례상에 올리면 안 되는 음식

차례상에 올리면 안 되는 음식

해당 지역이나 가정마다. 차례상에 오르는 음식이 각각 다르다고 할 있습니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차례상에 올리지 말아야 하는 음식이 있을 있습니다. 복숭아 및 키위 등 털이 있는 과일은 차례상에 올리지 않습니다. 삼치, 갈치 그리고 꽁치 등 끝에 ”치”자가 들어간 이름의 생선은 올리지 않도록 합니다. 임연수어처럼 비늘이 없고 생선은 비린내가 강해 올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잉어나 붕어 같은 비늘이 그대로 붙어있는 생선 역시 올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마늘 및 후추 향이 강한 양념은 사용하지 않으며, 간장 및 소금을 사용하도록 합니다. 고춧가루와 같은 붉은색의 식품 올리지 않도록 합니다. 붉은팥은 귀신을 쫓는다. 하여 사용하지 않으며 흰 고물 팥을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성균관 차례 기제사

성균관 차례상 표준안에는 명절 차례에 대한 표준안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간소화된 음식, 예절에 대한 정책이 나오고 있었으나 원래부터 차례는 차나 술을 올리는 간단한 예였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기제사보다. 거창하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균관에서는 따로 기제사에 대하여 설명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살아 있을 때 하지 못한 효를 더디게 하는 목적에서 정성과 감정을 담아 간단히 차리면 될 듯합니다.

차레 지내는 순서

1. 진설(陳設) : 식지 않는 음식을 차린다. 2. 강신(降神) : 개선 앞에 나아가 향을 피우고 집사자가 따라 주는 술을 세번으로 나누어 모시기에 붓고 두 번 절합니다. 3. 참신(參神) : 음양의 원리에 따라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합니다. 4. 진찬(進饌) : 진설에서 차리지 않은 나머지 차례음식으로서 식어서는 안될 음식을 차린다. 5. 헌작(獻酌) : 제주가 신위에 잔을 올리는 절차입니다.

6. 계반삽시(啓飯揷匙), 삽시정저(揷匙正著) : 메의 뚜껑을 열어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은 적이나 편에 올려놓는다. 7. 합문(闔門) : 조상님이 식사를 할 수 있게 제청 밖으로 나가고 문을 닫거나, 제상 앞에 병풍을 가린 후 모두 엎드립니다.

전 튀김 기름진 음식

전 및 튀김은 며느리, 어머님들이 음식을 준비하기에 제일 까다로운 부분입니다. 성균관에서는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은 불필요합니다.고 말하는데 기름진 음식을 쓰는 것은 예법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전을 부쳐서 세대갈등, 고부갈등, 부부싸움, 집안싸움을 한다기보다. 명절 때 보기 싫은 가족들이 모이고 서로 불편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냥 편하게 휴일을 누리고 싶은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또한 종교 문제로 인해 부담을 갖고 계신 분들도 많은 것 같습니다.

· 설날 추석 차례 축문

풍속 축문이 한문이라 현시대에는 축문의 질문 의미를 잘 알지 못 하는 상황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차라리 한글로 풀파악 축문을 하시기 바랍니다.

※ 외워서 고하지 않는 한 글로 쓰고 고해야 합니다. 한자 축문은 중국 주자의 주자가례, 예를 들어 학생부군은 벼슬을 하지 않았던 분들을 학생부군이라 칭하는데 할머니, 할아버지, 아버지, 엄마 등에 막 쓰이고 있습니다. 중국 것을 저희가 쓰다.

보니 엉터리 축문이 많고 현대 시대에는 차례에는 축문을 사용하지 않고 기제사 때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추석 차례지내기

추석 차례는 본인이 기제사를 지내는 모든 조상을 일제히 모시는 제사라고 보시면됩니다. 보면 됩니다. 기제사는 조상이 사망한 날에 모시는 제사라는 뜻입니다. 즉, 추석 차례는 준비한 음식을 조상님께서 드시고 가는 날이라고 보면 됩니다. 제사와 차례는 같다고 보면 되면서 추석과 설날에는 차례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게 맞습니다. 명절 때 지내는 차례는 제주 윗대로 거슬러 사망한 4대 조상 (고조부모)까지 대접하는 제사를 의미하며, 사망한 사람의 기일에 그 분만을 위해 지내는 제사와는 차이가 있다고 보면 됩니다.

빈번히 묻는 질문

차례상에 올리면 안 되는

해당 지역이나 가정마다.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성균관 차례 기제사

성균관 차례상 표준안에는 명절 차례에 대한 표준안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차레 지내는 순서

1 구체적인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Leave a Comment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